이유 : 버전 등의 문제로 적절한 프로젝트 설정이 없을 경우 위 메시지 발생

해결법 : 소스 파일을 workspace 밖으로 이동한다.

File -> New -> Android Project -> Ceate Project from existing source  -> 소스 디렉토리 선택 
( -> 그 후엔 그 소스를 Workspace로 복사해서 Import해도 정상 작동됨)


그 외)

소스에 적절한 프로젝트 설정 파일이 있을 경우 : 
File -> Import -> General -> Existing Projects into Workspace -> 소스 디렉토리 선택

http://vvipbeom.tistory.com/210

Colored By Color Scripter

1
2
3
<ImageButton android:src="@drawable/이미지파일이름" 
  android:background="@drawable/이미지파일이름" 
  android:scaleType="fitXY"></ImageButton>  


매니페스트 파일에


1
2
3
<  application
        android:name="org.androidtown.project01.ParseApplication"
        android:largeHeap="true">


android:largeHeap="true"를 준다

포트가 사용중이라는 얘기로

포트번호 바꾸면 해결



체크박스 체크하면 빌드 에러 해결!!

이라고 쓰고 난 어제 왜 그런 뻘짓을 했나 ㅠㅠㅠ

근데 런 하면 안되니깐 체크 하고 빌드하고 체크해제하고 런 시킬것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모리 부족 문제 발생시  (0) 2014.07.31
Address already in use: JVM_Bind  (0) 2014.07.31
안드로이드 tableRow 열병합  (0) 2014.07.31
Fragment  (0) 2014.07.31
Fragment Lifecycle(생명주기)  (0) 2014.07.31

열병합 안되는데 그럴때 tableRow안에 별도의 레이아웃을 넣어서

셀병합처럼 나타낼것





http://www.kmshack.kr/262

Fragment 개념

Android Activity의 기본 개념은 한 화면에 보이는 모든것을 관리 하는 개념이다. 다양한 테블릿 디바이스, 다이나믹한 어플레이케이션 개발을 위해서 Activity는 개념에 맞지 않아 등장 한것이 Frgament라는 개념이다. 

기존 Activity는 하나의 화면에 여러개 사용 할수 없게 설계되어 있는 반면 Fragment는 Activity와 비슷한  Lifecycle을 가지면서 여러가지 화면을 넣을 수 있는 방법을 지원해준다. 이 Fragment는 Android 3.0(허니컴)부터 API를 지원해 왔으며 그 이하 버전은 Support.v4(/sdk/extras/android/support/v4/android-support-v4.jar)의 FragmentActivity를 사용한다면 동일하게 사용가능 하다.

 

특징

Fragment는 Activity와 비슷한 LifeCycle을 가진다.

Fragment는 하나의 Activity에서 다수의 Fragment를 사용 할 수 있다.

Fragment는 Activity에서만 존재하며 단독으로 실행 될 수 없는 구조이다.

Fragment는 Activity와 마찬가지로 Back Stack을 사용 할 수 있으나, Activity처럼 다양한 Stack방식을 지원하지 않는다. 

Fragment는 Activity와 위에서만 존재 하기때문에 다수의 Fragment를 동시에 뛰울때 메모리가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너무 복잡한 구조는 지양해야 한다.

테블릿의 경우 Activity를 사용하면 많은 공간이 낭비 된다. 또한 이런 공간 낭비를 막기위해 View를 구성하게 되지만, 이런 관리들이 너무 복잡하게 되며 사용자들의 혼란을 초래 할 수있다. 

폰의 경우 ViewPager을 이용하여 작은 화면을 사용자들이 좀 더 다이나믹하게 사용 할수 있는 용도로 바꿀수 있다.

이 처럼 Fragemnt는 테블릿과 좀더 다이나믹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수로 사용되므로 안드로이드 개발 자라면 반드시 익혀 두길 권한다.

다음 강의는 Fragment의 Lifecycle에 대해서 강의를 하겠다. 

기본이 가장 중요한 만큼 꼼꼼하게 하나씩 뜯어 볼 것이다. 

http://www.kmshack.kr/263


Fragment Lifecycle(생명주기)

Fragment의 가장 기본인 Lifecycle을 알아보자. 모든 것이든 기본이 가장 중요한만큼 하나하나 꼼꼼하게 분석 해보자. 

Fragment는 Activity와 비슷한 Lifecycle 구조를 가졌다.


(
2013/02/26 – [개발관련/Android] – Fragment 파헤치기 – 1. Fragment 개념)이전 Fragment 개념에 대해 간단히 언급 했듯이, Fragment는 Activity에서 작동하는 구조라고 소개 되었다.

하지만 Activity보다 좀더 복잡하지만, 개념만 이해 한다면 쉽게 사용 할것 이다.

FragmentTransaction으로 Fragment를 add, replace 한다. 이외 레이아웃에서 바로 add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add, replace할때 부터 Lifecycle이 시작된다. 

- 최초 생성 Lifecycle

1. onAttach()

Fragment가 Activity에 붙을때 호출 된다.

2. onCreate()

Activity에서의 onCreate()와 비슷하나, ui관련 작업은 할 수 없다.

3. onCreateView()

Layout을 inflater을하여 View작업을 하는곳이다.

4. onActivityCreated()

Activity에서 Fragment를 모두 생성하고 난다음 호출 된다. Activity의 onCreate()에서 setContentView()한 다음이라고 생각 하면 쉽게 이해 될것 같다. 여기서 부터는 ui변경작업이 가능하다.

5. onStart()

Fragment가 화면에 표시될때 호출된다. 사용자의 Action과 상호 작용 할 수 없다.

6. onResume()

Fragment가 화면에 완전히 그렸으며, 사용자의 Action과 상호 작용이 가능하다.

- 다른 Fragment가 add

1. onPause()

Fragment가 사용자의 Action과 상호 작용을 중지한다.

2. onStop()

Fragment가 화면에서 더이상 보여지지 않게 되며, Fragment기능이 중지 되었을때 호출 된다.

3. onDestoryView()

View 리소스를 해제 할수 있도록 호출된다. 

backstack을 사용 했다면 Fragment를 다시 돌아 갈때 onCreateView()가 호출 된다.

- replace or backward로 removed되는 경우

4. onDestory()

Fragment상태를 완전히 종료 할 수 있도록 호출 한다.

5. onDetach()

Fragment가 Activity와 연결이 완전히 끊기기 직전에 호출 된다.

- 그외 Callbacks Method

onSaveInstanceState()

Activity와 동일하게 Fragment가 사라질떄 호출되며 상태를 Bundle로 저장할수 있도록 호출 된다. 

그럼 간단한 테스트 코드를 통해 Lifecycle에 맞게 작동 되는지 확인 해보도록 하자.


Activity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package com.test;
 
import com.example.fragmenttest.R;
 
import android.content.Context;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support.v4.app.Fragment;
import android.support.v4.app.FragmentActivity;
import android.support.v4.app.FragmentTransaction;
import android.util.AttributeSet;
import android.view.View;
 
public class FragmentTestActivity extends FragmentActivity {
    
 
    @Override
    public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main);
        
        FragmentTransaction ft = getSupportFragmentManager().beginTransaction();
        
        TestFragment newtf = TestFragment.newInstance(1);
        
        ft.replace(R.id.embedded, newtf);
        ft.commit();
        
    }
 
    @Override
    public void onAttachFragment(Fragment fragment) {
        super.onAttachFragment(fragment);
    }
    
    @Override
    public View onCreateView(String name, Context context, AttributeSet attrs) {
        return super.onCreateView(name, context, attrs);
    }
    
    @Override
    protected void onSaveInstanceState(Bundle outState) {
        super.onSaveInstanceState(outState);
    }
    
}
 


Fragmen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package com.test;
 
import android.app.Activity;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support.v4.app.Fragment;
import android.util.AttributeSet;
import android.util.Log;
import android.view.LayoutInflater;
import android.view.View;
import android.view.ViewGroup;
 
import com.example.fragmenttest.R;
 
public class TestFragment extends Fragment {
    
    int mIdx;
     
    public static TestFragment newInstance(int index) {
        
        TestFragment fragment = new TestFragment();
        
        Bundle args = new Bundle();
        args.putInt("index", index);
        fragment.setArguments(args);
 
        return fragment;
    }
    
    
    @Override
    public void onAttach(Activity activity) {
        Log.d(this.getClass().getSimpleName(), "onAttach()");
        
        super.onAttach(activity);
    }
    
    @Override
    public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Log.d(this.getClass().getSimpleName(), "onCreate()");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args = getArguments();
        if (args != null) {
            mIdx = args.getInt("index", 0);
        }
        
    }
    
    @Override
    public View onCreateView(LayoutInflater inflater, ViewGroup container, Bundle savedInstanceState) {
        Log.d(this.getClass().getSimpleName(), "onCreateView()");
        return inflater.inflate(R.layout.layout_contents, null);
        
    }
    
    @Override
    public void onInflate(Activity activity, AttributeSet attrs,
            Bundle savedInstanceState) {
        Log.d(this.getClass().getSimpleName(), "onInflate()");
        super.onInflate(activity, attrs, savedInstanceState);
    }
    
    @Override
    public void onViewCreated(View view, Bundle savedInstanceState) {
        Log.d(this.getClass().getSimpleName(), "onViewCreated()");
        super.onViewCreated(view, savedInstanceState);
    }
    
    @Override
    public void onActivityCreated(Bundle savedInstanceState) {
        Log.d(this.getClass().getSimpleName(), "onActivityCreated()");
        super.onActivityCreated(savedInstanceState);
    }
 
    @Override
    public void onStart() {
        Log.d(this.getClass().getSimpleName(), "onStart()");
        super.onStart();
    }
 
    @Override
    public void onResume() {
        Log.d(this.getClass().getSimpleName(), "onResume()");
        super.onResume();
    }
    
    @Override
    public void onPause() {
        Log.d(this.getClass().getSimpleName(), "onPause()");
        super.onPause();
    }
    
    
    

    @Override
    public void onStop() {
        Log.d(this.getClass().getSimpleName(), "onStop()");
        super.onStop();
    }
    
    @Override
    public void onDestroyView() {
        Log.d(this.getClass().getSimpleName(), "onDestroyView()");
        super.onDestroyView();
    }
    
    @Override
    public void onDestroy() {
        Log.d(this.getClass().getSimpleName(), "onDestroy()");
        super.onDestroy();
    }
 
    @Override
    public void onDetach() {
        Log.d(this.getClass().getSimpleName(), "onDetach()");
        super.onDetach();
    }
 
    @Override
    public void onSaveInstanceState(Bundle outState) {
        Log.d(this.getClass().getSimpleName(), "onSaveInstanceState()");
        super.onSaveInstanceState(outState);
    }
 
    
    
}

Fragment실행시 Log를 찍어 보았다. Lifecycle과 동일하게 작동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Fragment종료시 Log를 찍어 보았다. Lifecycle과 동일하게 작동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Activity에 비해 많은 Callbacks메소드로 인해 복잡한건 사실이다. 하지만 자세히 하나씩 보면 Activity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 그림을 첨부 했으니 Activity와 비교 해보면 좋을것 같다.


onCreateView는 액티비티의 onCreate 와 달라

뷰를 인플레이트만 해주고 나머지코드는 onViewCreated 로 옮김

액티비티가 초기화 되기 전에 액티비티 레이아웃에 있는 컴포넌트들을 찾았기 때문에 null exception이 생김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agment  (0) 2014.07.31
Fragment Lifecycle(생명주기)  (0) 2014.07.31
Android Private Libraries 삭제  (0) 2014.07.31
Attribute is missing  (0) 2014.07.31
MYSQL에서 DATETIME타입을 가져오는 방법  (0) 2014.07.31

Android 버전 22.x부터는 빌드를 하면 참조했던 라이브러리가 private library로 들어가 삭제도 수정도 불가능하다

만약 DB를 다루기 위한 라이브러리나 Parsing을 위한 라이브러리가 있다면 반드시 External Library ADD를 할 것

근데 저걸 잊어먹고 그냥 Library ADD를 통해서 추가 한 뒤 수정이 안되고 삭제가 불가능 할 경우

Library가 있는 위치를 찾던지 아니면 똑같이 만들어줘서 수정 삭제를 해야한다.

+ Recent posts